- 홍원표 Hong Won Pyo
-
- Campus : Seoul Campus
- Department : Department of Education
- E-mail : EDUHONG@YONSEI.AC.KR
- Tel : 02)2123-6173
- Office : Education Science Hall 514
-
-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교육학부 교육과정 담당 교수
전공영역
- 교육과정
교육과정 분야는 학교 교육과정의 실제적 측면을 다루는 분야와 현대 사회과학의 분석틀(포스트모더니즘, 탈구조주의, 탈식민주의, 젠더 이론, 다문화주의, 비판이론 등)로 교육과정의 다양한 이론적 함의를 드러내려는 접근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사실 이 두 접근은 대립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이론의 뒷받침 없는 실제는 무모한 반면, 실제와 유리된 이론은 공허해질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필요한 것은 소위 말하는 '개발 패러다임'과 '이해 패러다임'의 비판적 극복이며, 이를 위해서 교육과정 연구자에게 요청되는 것은 학교 현장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깊이 있는 이론적 논의를 전개할 수 있는 지적 끈기이다.
- 대학원 진학 안내
저는 전공이라는 명칭보다는 studio('study'에 헌신하는 공간이라는 의미에서)라는 이름을 선호합니다. 연세대학교 교육과정 studio의 일원이 되고자 하는 분들은 언제든지 연구실 전화(02-2123-6173)이나 이메일(eduhong@yonsei.ac.kr)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교육과정 분야는 학교 교육과정의 실제적 측면을 다루는 분야와 현대 사회과학의 분석틀(포스트모더니즘, 탈구조주의, 탈식민주의, 젠더 이론, 다문화주의, 비판이론 등)로 교육과정의 다양한 이론적 함의를 드러내려는 접근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사실 이 두 접근은 대립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이론의 뒷받침 없는 실제는 무모한 반면, 실제와 유리된 이론은 공허해질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필요한 것은 소위 말하는 '개발 패러다임'과 '이해 패러다임'의 비판적 극복이며, 이를 위해서 교육과정 연구자에게 요청되는 것은 학교 현장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깊이 있는 이론적 논의를 전개할 수 있는 지적 끈기이다.
- 대학원 진학 안내
저는 전공이라는 명칭보다는 studio('study'에 헌신하는 공간이라는 의미에서)라는 이름을 선호합니다. 연세대학교 교육과정 studio의 일원이 되고자 하는 분들은 언제든지 연구실 전화(02-2123-6173)이나 이메일(eduhong@yonsei.ac.kr)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학력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1996)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1998)
Michigan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 and Educational Policy 프로그램 박사(2008)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1998)
Michigan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 and Educational Policy 프로그램 박사(2008)
주요경력
연세대학교 교육학부 교수(2011.3 - 현재)
교육과정연구 편집위원장
한국교육학회 이사
교육부 교육과정심의회 위원
정부 업무 평가 위원
시도교육청 평가위원회 위원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과정위원
교육과정연구 편집위원장
한국교육학회 이사
교육부 교육과정심의회 위원
정부 업무 평가 위원
시도교육청 평가위원회 위원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과정위원
연구관심분야
교육과정 정책, 교육과정 이론, 지구화·다문화 시대와 학교 교육과정의 역할
강의분야
[학부]
교육과정의 원리, 수업장학론, 교수방법론, 교육과정개발 등
[대학원]
교육과정개발론, 교육과정이론세미나, 교육과정특강 등
교육과정의 원리, 수업장학론, 교수방법론, 교육과정개발 등
[대학원]
교육과정개발론, 교육과정이론세미나, 교육과정특강 등
논문
[국제]
⦁ Park, Jung- Won & Hong, Won- Pyo (2022). Internationalisation in action: exploring the voices of IB DP graduates studying in local universities in South Korea, Educational Review, 74(1), 114-130. DOI: 10.1080/00131911.2021.1939657.
⦁ Choi, Yeonsoo., Kim, Sung won & Hong, Won- Pyo (2019) Is the role of cultural capital in student achievement in South Korea different? A systema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40(6), 776-794, DOI: 10.1080/01425692.2019.1592662
⦁ Hong, Won- Pyo & Youngs, Peter (2016). Why are teachers afraid of curricular autonomy? Contradictory effects of the new national curriculum in South Korea.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 36(1), 20-33.
⦁ Chung, Pearl Jinjoo & Hong, Won- Pyo (2015). Transitions in education policy and interventions for underachievers in South Korea,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12(2). 25-45.
⦁ Hong, Won- Pyo & Halvorsen, A. (2014). Teaching the USA in South Korean secondary classrooms: the curriculum of ‘the superior other.’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6(2), 249-275.
⦁ Hong, Won- Pyo (2012). An international study of the changing nature and role of school curricula: from transmitting content knowledge to developing students’ key competencie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3(1), 27-37.
⦁ Hong, Won- Pyo (2010).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It development, remaining issues, and global implication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1(3), 387-395.
⦁ Hong, Won- Pyo & Halvorsen, A. (2010). Teaching Asia in US secondary school geography and global studies classrooms: Curriculum of Othering.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2(3), 371-393.
⦁ Hong, Won- Pyo (2009). Reading school textbooks as a cultural and political text: Representations of Asia in geography textbooks used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urriculum Theorizing. 25(1), 86-99.
⦁ Hong, Won- Pyo & Youngs, Peter (2008). Does high stakes testing increase cultural capital among low income and racial minority students? Educational Policy Analysis Archive, 16(6).
[국내]
홍원표(2023).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책임교육: 교사들이 경험하는 모순과 가능성, 교육과정연구, 교육과정연구, 41(1), 211-236.
공민정, 홍원표(2023). 성인 이민자를 위한 사회통합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 탐색: 호주의 AMEP 사례를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연구, 16(2), 5-42.
정은진, 홍원표(2022). 중등학교 기간제교사의 학습: 합법적 주변 참여와 정체성 형성을 중심으로. 교원교육연구, 39(3), 161-187.
조현희, 홍원표(2022). OECD Education 2030에 내재된 학생 주도성의 다면적 의미: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들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0(6), 215-242.
최보금, 홍원표(2022). 중학생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수준 변인 탐색: 2018년 중3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5(2), 121-145.
홍원표, 이광우, 임유나(2022).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남은 쟁점과 과제: 교육과정 담당 교원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40(1), 157-183.
조현희, 홍원표(2022). 초등 교육과정 연구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학습자 주도성의 의미. 교육문화연구, 28(1), 319-342
임유나·홍원표(2021). 미래 사회에 대응한 북유럽 국가 교육과정의 특징 분석: 핀란드와 에스토니아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31(3). 93-125
이상은·홍원표(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의 탄력적 편성ㆍ운영 실태와 시사점 탐색. 교육과정연구, 38(1). 1-28.
홍원표(2019). IB 디플로마 프로그램(DP)의 공교육 도입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교육과정연구, 37(3), 199-222.
김한성·홍원표(2019). 2015 개정 교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 초등 사회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7(1), 165-190.
홍원표 ・최연수・최보금(2019). 고등학교 신설과목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탐구. 교육문화연구, 25(1), 491-511.
박주희·홍원표(2018).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멘토링 효과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연구, 35(1), 207-231.
홍원표(2017). Revisi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Korea: Focused on Theoretical and Practical Challenges. 교육과정연구, 35(1), 239-254.
정진주·손다정·김효선·홍원표(2016). North Korean Adolescents’Experiences during and after High Schools in South Korea: Personal Endeavors and Structural Constraints. 비교
교육연구, 26(5), 65-91.
홍원표(2016).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과 후속 지원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교육과정연구, 34(2), 69-94.
정하나·홍원표(2016). 초등학교 수업멘토링의 걸림돌과 디딤돌 : 두 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원교육연구, 33(2), 233-257.
정하나·홍원표(2016). 초등 수석교사와 초임교사의 수업멘토링 실천 사례 연구. 초등교육연구, 29(2), 207-230.
윤은영·홍원표(2016). 학교 봉사활동의 교육적 가치 탐색: 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2), 75-96.
김효선·홍원표(2016). 다문화교육 중점학교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우수 학교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19(1), 73-96.
윤은영·홍원표(2015). 학교 봉사활동의 교육적 가능성 재고: 다양성에 대한 학생들의 지평 확장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3(3), 101-123.
최보금·홍원표(2015).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과과정에서 학생들의 과목 선택 이유가 대학 학업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53(3), 141-160.
홍원표·윤은영(2014).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새로운 접근: 교육과정 거점학교의 효과와 발전 방향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1), 149-172.
정진주·홍원표(2014). A Comparative Study on Supplemental Educational Services in the United Stateds and Korea. 비교
교육연구, 24(5), 127-152.
홍원표·곽은희(2014).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국내 사례 분석: 두 교사의 수업 변화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2(2), 163-186.
소경희·송주현·홍원표·강지영(2014). 독일 함부르크 주의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 사례 탐색. 음악교육연구, 43(2), 25-45.
홍원표(2014). 교육과정 거점학교의 효과와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2(1), 53-75.
홍원표(2014). 교육과정 거점학교의 효과와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2(1), 53-75.
홍원표(2013). 학교 봉사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 탐색: 봉사활동을 넘어 봉사학습으로. 교육과정연구, 31(3), 227-252.
홍원표·윤은영·곽은희(2013). 2009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학년군 제도의 현장적용에 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26(2), 173-196.
홍원표·조현정(2013).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탐색적 연구. 중등교육연구, 61(1), 169-198.
홍원표·정하나(2012). 초임교사 멘토링에 필요한 초등 수석교사의 역량요소 탐색: 중요도와 실행준비도를 중심으로. 교원교육연구, 29(4),295-319.
홍원표·한진상(2012).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의 관점을 통해 본 초등 다문화 교육의 한계와 개선 방안. 초등교육연구, 25(3), 207-233.
홍원표·이광우(2012). 핵심역량과 국가 교육과정의 연계 방안: 문서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15(2), 1-23.
홍원표(2011). 오바마 이후 미국 교육과정 정책의 동향과 쟁점: 국가 교육과정을 향한 긴 여정과 불확실한 결과, 교육과정연구 29(4), 137-160.
홍원표(2011). 글로벌ㆍ다문화 시대에 적합한 정체성 교육의 내용영역 구안 및 교과 교육 과의 연계방안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14(3), 1- 23.
홍원표(2011). 우상과 실상: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모순된 결과와 해결방안 탐색, 교육과정연구 29(2), 23-43.
홍원표·이근호(2011).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적용 방안 연구: 캐나다 퀘벡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9(1), 67-86.
김신영·박현정·김재철·홍원표·김경희(2010). 고등학교 졸업요건 설정방안 탐색연구. 교육평가연구, 23(4), 735-764.
홍원표 (2010). 탈식민주의와 학교 교육과정 연구: 다문화 시대의 새로운 인식론적 기반을 찾아서. 교육과정연구, 28(1), 47-65.
홍원표 (2009). 지리적 경계와 문화적 상상력, 그리고 학교 교육과정: 미국 사회과 수업의 “아시아”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2(1), 145-172.
홍원표 (2008). 타인의 시선: 미국 교육과정 안의 아시아, 우리의 시선은? 교육과정연구, 26(4), 253-274.
홍원표 (2008). 한국적 다문화 교육의 발전 방안 탐색: 미국 논의의 수용을 넘어서, 교육원리연구13(2), 89-113.
⦁ Park, Jung- Won & Hong, Won- Pyo (2022). Internationalisation in action: exploring the voices of IB DP graduates studying in local universities in South Korea, Educational Review, 74(1), 114-130. DOI: 10.1080/00131911.2021.1939657.
⦁ Choi, Yeonsoo., Kim, Sung won & Hong, Won- Pyo (2019) Is the role of cultural capital in student achievement in South Korea different? A systema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40(6), 776-794, DOI: 10.1080/01425692.2019.1592662
⦁ Hong, Won- Pyo & Youngs, Peter (2016). Why are teachers afraid of curricular autonomy? Contradictory effects of the new national curriculum in South Korea.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 36(1), 20-33.
⦁ Chung, Pearl Jinjoo & Hong, Won- Pyo (2015). Transitions in education policy and interventions for underachievers in South Korea,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12(2). 25-45.
⦁ Hong, Won- Pyo & Halvorsen, A. (2014). Teaching the USA in South Korean secondary classrooms: the curriculum of ‘the superior other.’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6(2), 249-275.
⦁ Hong, Won- Pyo (2012). An international study of the changing nature and role of school curricula: from transmitting content knowledge to developing students’ key competencie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3(1), 27-37.
⦁ Hong, Won- Pyo (2010).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It development, remaining issues, and global implication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1(3), 387-395.
⦁ Hong, Won- Pyo & Halvorsen, A. (2010). Teaching Asia in US secondary school geography and global studies classrooms: Curriculum of Othering.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2(3), 371-393.
⦁ Hong, Won- Pyo (2009). Reading school textbooks as a cultural and political text: Representations of Asia in geography textbooks used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urriculum Theorizing. 25(1), 86-99.
⦁ Hong, Won- Pyo & Youngs, Peter (2008). Does high stakes testing increase cultural capital among low income and racial minority students? Educational Policy Analysis Archive, 16(6).
[국내]
홍원표(2023).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책임교육: 교사들이 경험하는 모순과 가능성, 교육과정연구, 교육과정연구, 41(1), 211-236.
공민정, 홍원표(2023). 성인 이민자를 위한 사회통합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 탐색: 호주의 AMEP 사례를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연구, 16(2), 5-42.
정은진, 홍원표(2022). 중등학교 기간제교사의 학습: 합법적 주변 참여와 정체성 형성을 중심으로. 교원교육연구, 39(3), 161-187.
조현희, 홍원표(2022). OECD Education 2030에 내재된 학생 주도성의 다면적 의미: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들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60(6), 215-242.
최보금, 홍원표(2022). 중학생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수준 변인 탐색: 2018년 중3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5(2), 121-145.
홍원표, 이광우, 임유나(2022).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남은 쟁점과 과제: 교육과정 담당 교원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40(1), 157-183.
조현희, 홍원표(2022). 초등 교육과정 연구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학습자 주도성의 의미. 교육문화연구, 28(1), 319-342
임유나·홍원표(2021). 미래 사회에 대응한 북유럽 국가 교육과정의 특징 분석: 핀란드와 에스토니아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31(3). 93-125
이상은·홍원표(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의 탄력적 편성ㆍ운영 실태와 시사점 탐색. 교육과정연구, 38(1). 1-28.
홍원표(2019). IB 디플로마 프로그램(DP)의 공교육 도입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교육과정연구, 37(3), 199-222.
김한성·홍원표(2019). 2015 개정 교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 초등 사회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7(1), 165-190.
홍원표 ・최연수・최보금(2019). 고등학교 신설과목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탐구. 교육문화연구, 25(1), 491-511.
박주희·홍원표(2018).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멘토링 효과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연구, 35(1), 207-231.
홍원표(2017). Revisit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Korea: Focused on Theoretical and Practical Challenges. 교육과정연구, 35(1), 239-254.
정진주·손다정·김효선·홍원표(2016). North Korean Adolescents’Experiences during and after High Schools in South Korea: Personal Endeavors and Structural Constraints. 비교
교육연구, 26(5), 65-91.
홍원표(2016).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과 후속 지원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교육과정연구, 34(2), 69-94.
정하나·홍원표(2016). 초등학교 수업멘토링의 걸림돌과 디딤돌 : 두 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원교육연구, 33(2), 233-257.
정하나·홍원표(2016). 초등 수석교사와 초임교사의 수업멘토링 실천 사례 연구. 초등교육연구, 29(2), 207-230.
윤은영·홍원표(2016). 학교 봉사활동의 교육적 가치 탐색: 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2), 75-96.
김효선·홍원표(2016). 다문화교육 중점학교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우수 학교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19(1), 73-96.
윤은영·홍원표(2015). 학교 봉사활동의 교육적 가능성 재고: 다양성에 대한 학생들의 지평 확장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3(3), 101-123.
최보금·홍원표(2015).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과과정에서 학생들의 과목 선택 이유가 대학 학업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53(3), 141-160.
홍원표·윤은영(2014).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새로운 접근: 교육과정 거점학교의 효과와 발전 방향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1), 149-172.
정진주·홍원표(2014). A Comparative Study on Supplemental Educational Services in the United Stateds and Korea. 비교
교육연구, 24(5), 127-152.
홍원표·곽은희(2014).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국내 사례 분석: 두 교사의 수업 변화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2(2), 163-186.
소경희·송주현·홍원표·강지영(2014). 독일 함부르크 주의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 사례 탐색. 음악교육연구, 43(2), 25-45.
홍원표(2014). 교육과정 거점학교의 효과와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2(1), 53-75.
홍원표(2014). 교육과정 거점학교의 효과와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2(1), 53-75.
홍원표(2013). 학교 봉사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 탐색: 봉사활동을 넘어 봉사학습으로. 교육과정연구, 31(3), 227-252.
홍원표·윤은영·곽은희(2013). 2009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학년군 제도의 현장적용에 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26(2), 173-196.
홍원표·조현정(2013).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탐색적 연구. 중등교육연구, 61(1), 169-198.
홍원표·정하나(2012). 초임교사 멘토링에 필요한 초등 수석교사의 역량요소 탐색: 중요도와 실행준비도를 중심으로. 교원교육연구, 29(4),295-319.
홍원표·한진상(2012).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의 관점을 통해 본 초등 다문화 교육의 한계와 개선 방안. 초등교육연구, 25(3), 207-233.
홍원표·이광우(2012). 핵심역량과 국가 교육과정의 연계 방안: 문서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15(2), 1-23.
홍원표(2011). 오바마 이후 미국 교육과정 정책의 동향과 쟁점: 국가 교육과정을 향한 긴 여정과 불확실한 결과, 교육과정연구 29(4), 137-160.
홍원표(2011). 글로벌ㆍ다문화 시대에 적합한 정체성 교육의 내용영역 구안 및 교과 교육 과의 연계방안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14(3), 1- 23.
홍원표(2011). 우상과 실상: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모순된 결과와 해결방안 탐색, 교육과정연구 29(2), 23-43.
홍원표·이근호(2011).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적용 방안 연구: 캐나다 퀘벡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9(1), 67-86.
김신영·박현정·김재철·홍원표·김경희(2010). 고등학교 졸업요건 설정방안 탐색연구. 교육평가연구, 23(4), 735-764.
홍원표 (2010). 탈식민주의와 학교 교육과정 연구: 다문화 시대의 새로운 인식론적 기반을 찾아서. 교육과정연구, 28(1), 47-65.
홍원표 (2009). 지리적 경계와 문화적 상상력, 그리고 학교 교육과정: 미국 사회과 수업의 “아시아”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2(1), 145-172.
홍원표 (2008). 타인의 시선: 미국 교육과정 안의 아시아, 우리의 시선은? 교육과정연구, 26(4), 253-274.
홍원표 (2008). 한국적 다문화 교육의 발전 방안 탐색: 미국 논의의 수용을 넘어서, 교육원리연구13(2), 89-113.
저술
(Book chapter) Eunjin Jeong & Won- Pyo Hong (2023).Three Driving Forces underlying the Progress of School Curriculum in South Korea. In R. V. Nata (ed.) Progress in Education Vol. 74 (pp. 201-222). New York: NOVA.
(Book chapter) Lee, Moosung., Hong, Won- Pyo Hong & Wright, Ewan (2023). Understanding Curriculum from a Sociological and Policy Perspective. In C. Maxwell, L. Engel, & M. Yemini, M.(eds.) Sociological Foundations of Education (pp. 55-80). London: Bloomsbury.
홍원표(2019, 단독 번역). 교육과정 연구의 선도자들: 지적 자화상. 학지사
(Book chapter) Hong, Won-Pyo & Min, Sunkee (2013). Critical reexamin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an
merging diverse society: The South Korean case. R. White(Ed.), Curriculum development, innovation and reform (pp. 23-38). New York: Nova.
(Book chapter) Hong, Won-Pyo, Li, G., He, M. F., Tsou, W., Curdt-Christiansen, X., and Huong, P. L. (2010). Teachers and teaching in Sinic education. In Y. Zhao, J. Lei, G. Li, M. F. He, K. Okano, N. Megahed, D. Gamage, & N. Ramanathan (Eds.), Handbook of Asian education: A cultural Approach(pp.51-77). New York: Routledge.
(Book chapter) Hong, Won-Pyo & Lee, Kwang-Woo (2010). Searching for a competence-based approach to school curriculum: Korean efforts and remaining issues. In Han, S H. (Ed.), Managing and developing core competencies in a learning society (pp.127-149).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Book chapter) Hong, Won-Pyo & Adler, S. (2009). The present and future of teaching methods in social studies and diversity education: A critical review. In E. Heilman, R. Fruja and M. Massias(Eds.). Social studies and diversity education: What we do and why (pp. 363-376). New York: Routledge.
(Book chapter) Lee, Moosung., Hong, Won- Pyo Hong & Wright, Ewan (2023). Understanding Curriculum from a Sociological and Policy Perspective. In C. Maxwell, L. Engel, & M. Yemini, M.(eds.) Sociological Foundations of Education (pp. 55-80). London: Bloomsbury.
홍원표(2019, 단독 번역). 교육과정 연구의 선도자들: 지적 자화상. 학지사
(Book chapter) Hong, Won-Pyo & Min, Sunkee (2013). Critical reexamin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an
merging diverse society: The South Korean case. R. White(Ed.), Curriculum development, innovation and reform (pp. 23-38). New York: Nova.
(Book chapter) Hong, Won-Pyo, Li, G., He, M. F., Tsou, W., Curdt-Christiansen, X., and Huong, P. L. (2010). Teachers and teaching in Sinic education. In Y. Zhao, J. Lei, G. Li, M. F. He, K. Okano, N. Megahed, D. Gamage, & N. Ramanathan (Eds.), Handbook of Asian education: A cultural Approach(pp.51-77). New York: Routledge.
(Book chapter) Hong, Won-Pyo & Lee, Kwang-Woo (2010). Searching for a competence-based approach to school curriculum: Korean efforts and remaining issues. In Han, S H. (Ed.), Managing and developing core competencies in a learning society (pp.127-149).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Book chapter) Hong, Won-Pyo & Adler, S. (2009). The present and future of teaching methods in social studies and diversity education: A critical review. In E. Heilman, R. Fruja and M. Massias(Eds.). Social studies and diversity education: What we do and why (pp. 363-376). New York: Routledge.
연구 과제 수행 (2015년 이후)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2022. 4.- 2022. 12)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선 연구 (2021. 4-2021. 10)
미래형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2020. 6-2020. 11)
2019년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컨설팅(사례 연구) (2019. 5-2019. 1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탄력적 편성·운영 방안 연구(2019. 6-2019. 12)
시도 교육청 개설 승인과목의 운영실태 분석 및 질관리 방안 연구 (2018. 7-2018. 12)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영문판 개발 연구( 2015. 11-2016. 1)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2015. 2-2015. 11)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선 연구 (2021. 4-2021. 10)
미래형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2020. 6-2020. 11)
2019년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컨설팅(사례 연구) (2019. 5-2019. 1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탄력적 편성·운영 방안 연구(2019. 6-2019. 12)
시도 교육청 개설 승인과목의 운영실태 분석 및 질관리 방안 연구 (2018. 7-2018. 12)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영문판 개발 연구( 2015. 11-2016. 1)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2015. 2-2015. 11)
학술발표
September 6, 2019. Experiences in ‘Elite’ High Schools and Their Impact on Students’ Identity Formation: The South Korean Case, European Conference on Educational Research, Hamburg, Germany.
September 6, 2018. Three South Korean Teachers’ Endeavours to Implement Competency-Based Curriculum, European Conference on Educational Research, Bolzano, Italy.
August 24, 2016. A Critical Review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European Conference on Educational Research, Dublin, Ireland.
2015년 5월 9일 한국교육과정학회 춘계 학술대회: 학교 봉사활동의 교육적 가능성 재고찰: 다양성에 대한 학생들의 지평 확장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년 8월 29일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학교 봉사활동은 학습의 기회가 될 수 있는가? 학생들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부산: 부산대학교.
2015년 9월 10일 Europe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WERA: Transitions in Education Policy and Interventions for Underachievers in South Korea.
Hungary: Budapest.
2015년 10월 16일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al Research: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Diverse Academic Needs in South Korea.
서울: 서울대학
2014년 11월 20일 세계교육학회(WERA: World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연례학술대회: Asia in the US curriculum, the US in the South Korean curriculum -
how they teach one another. 스코틀랜드 에딘부르대학교.
2014년 6월 28일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역랑기반 교육과정의 국내 사례 분석: 두 교사의 ‘실천’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3년 10월 17일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Research: Rethinking the significance of school-based community services: Integrating service and learning.
서울대학교
2012년 4월 14일 미국교육학회(AERA: Americ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연례학술대회 Collective Imagination of Others and the School Curriculum?
The US in South Korean Curriculum. 캐나다: 밴쿠버
2011년 12월 17일 세계교육학회(WERA: World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연례학술대회 Korean Dream for Autonomous School Curriculum:
Hopes, Obstacles and Global Implications. 대만: 국립중산대학교
2011년 11월 18일 한국교육과정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발표: 교육과정 자율화의 역설적 성격과 전망: 고르디온의 매듭풀기). 서울, 경희대학교
2011년 5월 28일 한국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발표: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효과와 개선 방안 탐색). 대전, 충남대학교
2010년 5월 2일 미국 교육학회 (AERA) 연차학술 대회 (논문발표: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It development, remaining issues, and global implications). 미국 덴버.
2009년 10월 30일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Research (Searching for a competence-based approach to school curriculum: Korean efforts and remaining
issues, With Kwang-Woo Lee). 서울, 서울대학교
2009년 10월 24일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탈식민주의와 학교 교육과정: 해체와 재건축의 또 다른 시도).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2008년 11월 29일 한국교육학회 국제학술대회 (Paper presentation: Rethinking teaching about others in a global society: Asia in American classrooms). 서울, 서울대학교
2008년 11월 25일 ASEM Lifelong Learning Conference (Paper presentation: Trends and issues in developing global competence in Korea). 중국 베이징
2008년 3월 28일미국교육학회 (AERA) 연차학술 대회 (논문발표: 지구화 시대와 타자화의 교육과정- 미국 교실의 아시아 수업을 중심으로). 미국 뉴욕.
2008년 3월 20일 미국 비교교육학회(CIES: 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Education Society) 연차 학술대회 (발표제목: 한국 박사학위 취득자의 진로 불평등: 남녀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미국 뉴욕, 콜럼비아 대학교.
2007년 2월 27일 미국 비교교육학회(CIES) 연차 학술대회 (발표 제목: 타인에 대한 교육과정의 사회문화적 함의: 미국 교실 안의 아시아). 미국 볼티모어
2006년 11월 30일. 미국 사회교육학회 (NCSS: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연차 학술대회 (논문 발표: 사회-문화적 텍스트로서의 교과서: 교과서 안의 아시아 분석)
미국 워싱턴 디씨.
September 6, 2018. Three South Korean Teachers’ Endeavours to Implement Competency-Based Curriculum, European Conference on Educational Research, Bolzano, Italy.
August 24, 2016. A Critical Review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European Conference on Educational Research, Dublin, Ireland.
2015년 5월 9일 한국교육과정학회 춘계 학술대회: 학교 봉사활동의 교육적 가능성 재고찰: 다양성에 대한 학생들의 지평 확장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년 8월 29일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학교 봉사활동은 학습의 기회가 될 수 있는가? 학생들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부산: 부산대학교.
2015년 9월 10일 Europe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WERA: Transitions in Education Policy and Interventions for Underachievers in South Korea.
Hungary: Budapest.
2015년 10월 16일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al Research: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Diverse Academic Needs in South Korea.
서울: 서울대학
2014년 11월 20일 세계교육학회(WERA: World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연례학술대회: Asia in the US curriculum, the US in the South Korean curriculum -
how they teach one another. 스코틀랜드 에딘부르대학교.
2014년 6월 28일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역랑기반 교육과정의 국내 사례 분석: 두 교사의 ‘실천’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3년 10월 17일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Research: Rethinking the significance of school-based community services: Integrating service and learning.
서울대학교
2012년 4월 14일 미국교육학회(AERA: Americ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연례학술대회 Collective Imagination of Others and the School Curriculum?
The US in South Korean Curriculum. 캐나다: 밴쿠버
2011년 12월 17일 세계교육학회(WERA: World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연례학술대회 Korean Dream for Autonomous School Curriculum:
Hopes, Obstacles and Global Implications. 대만: 국립중산대학교
2011년 11월 18일 한국교육과정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발표: 교육과정 자율화의 역설적 성격과 전망: 고르디온의 매듭풀기). 서울, 경희대학교
2011년 5월 28일 한국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발표: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효과와 개선 방안 탐색). 대전, 충남대학교
2010년 5월 2일 미국 교육학회 (AERA) 연차학술 대회 (논문발표: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It development, remaining issues, and global implications). 미국 덴버.
2009년 10월 30일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Research (Searching for a competence-based approach to school curriculum: Korean efforts and remaining
issues, With Kwang-Woo Lee). 서울, 서울대학교
2009년 10월 24일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탈식민주의와 학교 교육과정: 해체와 재건축의 또 다른 시도).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2008년 11월 29일 한국교육학회 국제학술대회 (Paper presentation: Rethinking teaching about others in a global society: Asia in American classrooms). 서울, 서울대학교
2008년 11월 25일 ASEM Lifelong Learning Conference (Paper presentation: Trends and issues in developing global competence in Korea). 중국 베이징
2008년 3월 28일미국교육학회 (AERA) 연차학술 대회 (논문발표: 지구화 시대와 타자화의 교육과정- 미국 교실의 아시아 수업을 중심으로). 미국 뉴욕.
2008년 3월 20일 미국 비교교육학회(CIES: 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Education Society) 연차 학술대회 (발표제목: 한국 박사학위 취득자의 진로 불평등: 남녀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미국 뉴욕, 콜럼비아 대학교.
2007년 2월 27일 미국 비교교육학회(CIES) 연차 학술대회 (발표 제목: 타인에 대한 교육과정의 사회문화적 함의: 미국 교실 안의 아시아). 미국 볼티모어
2006년 11월 30일. 미국 사회교육학회 (NCSS: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연차 학술대회 (논문 발표: 사회-문화적 텍스트로서의 교과서: 교과서 안의 아시아 분석)
미국 워싱턴 디씨.